
+ 온라인으로 영문 모던 캘리그라피 수업을 하시는 Lisa 선생님이 1일 대면 수업을 여신다고 해서 신청했다. 전주에 사는 친구에게 일정을 물어보고 같이 등록했고, 하루 전 금요일에 내려가서 친구와 놀고, 토요일에 같이 수업을 듣고 저녁 먹고 올라왔다. 친구는 처음이었는데 들숨 날숨 어찌나 집중해서 하던지 중간에 과호흡 오는 줄 알았다고. 새로운 경험 재미있었다고 해서 뿌듯했고, 샘 뵈어서 반가웠고, 맛있는 거 많이 먹어서 좋았고.
+ 전주 객리단길(-.-)에는 여기가 망원동인가 싶을 정도로 힙한 가게들이 많이 보였는데 금요일 저녁으로 '칠보갈비'라는 곳을 골랐다. 와인과 함께 갈비, 수비드목살, 비빔냉면을 여유있게 먹었다. 걸어서 십분 거리인 '진주도가'라는 곳으로 이동해서 전통주 베이스 칵테일을 마시고, 집에 와서 하겐다즈 워터멜론&스트로베리로 마무리. 토요일에는 아침에 줌 스터디를 하고, 친구는 운동 다녀와서 집에서 점심을 먹고, 오후 캘리그라피 수업에 갔다가, 저녁은 비빔밥으로 유명한 '한국집'에서 한우육회, 된장찌개, 해물파전을 먹었다. 육회비빔밥 먹지 말고 육회를 시켜서 밥에 얹어먹는 게 예전 어르신들 드시는 방식이었다고 해서 따라해봤는데, 육회 양념이 고추장으로 되어있어서 양념게장을 얹어먹는 것처럼 맛있었다. 저녁 먹고 익산역 가는 길에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까페에 들르려고 했는데 주차장 자리가 없어서 패스하고 바로 올라왔는데 식사 메뉴로 고른 게 모두 무척 만족스러웠어서 친구도 나도 이틀 내내 기분이 좋았다.
+ 원래 내가 관심이 있었던 건 캘리그라피가 아니라 필기체를 익히는 거였는데 온라인 강의 공지를 보고 처음에 문의했을 때 차이를 잘 설명해주셔서 오히려 캘리를 시도해보게 되었다. 보이는 건 비슷할 수 있는데 둘은 목적과 방법이 완전 다른 활동이다. 1일 대면 수업 공지를 보고 전주 오가는 시간이나 비용 생각 안하고 참가하기로 바로 결정한 이유는 월등한 실력향상을 기대해서가 아니라 온라인수업을 들을수록 비대면 교류의 한계를 체감했기 때문이다. 다른 건 몰라도 학습활동 만큼은 지도자와의 대면 교류를 선호한다는 걸 판데믹 동안 확실히 알게 되었다. 온라인 수업도 오프라인 수업도 언제나 심호흡으로 수업을 시작하시는 것도 좋다. 가는 획은 들숨으로 아래에서 위로, 굵은 획은 날숨으로 위에서 아래로.
+ 가벼운 명상 효과가 있고 심경이 복잡한 일이 있었을 때 마음 가라앉히는데 제법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있으면 권하게 된다. 전주에 사시는 캐나다인 여성 샘이 영어로 진행하는 8주짜리 온라인수업 가끔(?) 개강. 워크북과 펜 등은 우편으로 보내주심. 인스타에서 lisaslovelyletters 검색 :)
+ 가벼운 명상 효과가 있고 심경이 복잡한 일이 있었을 때 마음 가라앉히는데 제법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있으면 권하게 된다. 전주에 사시는 캐나다인 여성 샘이 영어로 진행하는 8주짜리 온라인수업 가끔(?) 개강. 워크북과 펜 등은 우편으로 보내주심. 인스타에서 lisaslovelyletters 검색 :)
+ 지난 달에 여성신문의 기사 [거리에서 여성 노숙인 안보이는 이유 아시나요?]를 접하고 여성노숙인 지원 센터 <사단법인 열린복지>를 알게 되어서 정기 후원을 시작했다. 홈페이지에 안내가 미비해서 전화로 문의 후 이메일로 CMS 계좌이체 동의서를 받아서 전할 수 있었다. 후원을 많이 하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관심있는 곳에 소액으로 정기후원을 하게 되는데 주로 여성단체다. 여성 노숙인은 관련 기사나 실제 노숙인을 볼 때마다 계속 생각이 났는데 후원 방법을 몰랐고, 이번 기사를 읽은 덕에 할 수 있게 되었다. 나는 아무래도 나와 가까운 곳, 가까운 것을 찾는 듯 하다. 같은 젠더, 내가 될 나이, 내가 처할 수도 있는 상황, 내가 사는 곳과 가까운 동네. 그런데... 어제 전주에서 용산역을 거쳐 집에 오는 길에 마을버스에서 내 옆자리에 중년 여성 노숙인이 앉았다. 행색과 냄새로 노숙인이라는 걸 안 순간 나의 본능은 이렇게 가까운 거리에 옆에 있기 '싫다'는 것. 인간.... 몰까?
최근 덧글